아르보르의 집

[도서: 재즈, 최규용] 웨스트 코스트 재즈 본문

재즈 서적

[도서: 재즈, 최규용] 웨스트 코스트 재즈

Arbor zip 2024. 7. 31. 18:00

 
쿨 재즈가 지닌 음악적 특성들은 당시 웨스트 코스트 지역의 재즈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 웨스트 코스트 재즈는 뉴욕을 중심으로 흑인 중심의 비밥 재즈가 위용을 과시할 때, 백인이 중심이 되어(물론 흑인도 더러 포함되어 있었다) 로스앤젤레스를 중심으로 한 캘리포니아 주에서 연주되었던 재즈를 말한다. 웨스트코스트 지역의 재즈 연주자들은 뉴욕의 비밥을 제대로 체험하지 못했으며 주로 뉴 올리언즈 재즈를 백인들이 리바이벌했던 딕시랜드(Dixieland) 재즈의 전통을 이어받은 연주를 하고 있었다.

https://en.wikipedia.org/wiki/Dixie
'딕시'가 의미하는 게 무엇인지 궁금하다면
🔽🔽🔽🔽🔽

Dixie - Wikipedia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Nickname for the Southern United States M.E. Garrison's Map of Dixie published in 1909. This version of Dixie only includes states within the Southeast, omitting traditionally included states such as Texas or Virginia.

en.wikipedia.org

 
 

 
그리고 그 연주는 캘리포니아의 지리적, 기후적 여건을 반영한 가볍고 부드러운 사운드가 특징이었다. 그러다가 이들은 뉴욕에서 온 게리 멀리건이나 쉘리맨 같은 연주자들을 만나게 되는데, 이 만남을 통해 그들만의 독특한 재즈를 만들어 나갔다.

https://en.wikipedia.org/wiki/Shelly_Manne

Shelly Manne - Wikipedia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American jazz drummer Musical artist Sheldon "Shelly" Manne (June 11, 1920 – September 26, 1984) was an American jazz drummer. Most frequently associated with West Coast jazz, he was known for his versatility and als

en.wikipedia.org

https://youtu.be/OthLE3DU0Z0?si=r88Jb2_2CWadYCJI

 
한편 웨스트 코스트 재즈의 연주자들은 빅밴드 출신이 많았다. 특히 우디 허먼(Woody Herman)과 스탄 켄튼(Stan Kenton) 오케스트라 출신의 연주자들이 많았는데, 그중 포 브라더스(Four brothers)로 불렸던 스탄 겟츠(Stan Getz),주터 심스(Zoot Sims), 알 콘(Al Cohn), 세르주 살로프(Serge Saloff)를 대표적인 연주자로 꼽을 수 있다 이 연주자들은 비밥 연주자들과 달리 스윙 시대의 편곡에 그다지 반감을 지니지 않았다.
 
그래서 쿨재즈의 편곡은 분명 새로운 느낌으로 즉흥연주를 최대한 자유롭게 하기 위한 방향으로 이루어졌던 비밥의 편곡과는 달리 스윙시대처럼 각 악기 파트 간의 절묘한 조화를 중요하게 생각했다. 그리고 주 멜로디와 조화를 이루면서도 독자적인 멜로디를 진행시키는 대위법을 잘 사용했다. 그중 몇몇 연주자들은 편곡에 유럽의 전통 클래식과 현대적인 12음 기법 등을 재즈에 도입하기도 했는데, 이로 인해 부드럽다는 표현으로는 부족한, 냉랭하고 이지적인 분위기의 곡들이 만들어지기도 했다. 특히 지미 주프레(Jimmy Giuffre) 같은 연주자는 1960년대의 진보적인 재즈에 영향을 주게 된다. 
 

https://en.wikipedia.org/wiki/Jimmy_Giuffre

Jimmy Giuffre - Wikipedia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American jazz clarinetist, saxophonist, composer, and arranger (1921–2008) Jimmy GiuffreBirth nameJames Peter GiuffreBorn(1921-04-26)April 26, 1921Dallas, Texas, U.S.DiedApril 24, 2008(2008-04-24) (aged 86)Pittsfiel

en.wikipedia.org

https://www.youtube.com/watch?v=ovI15D6F4eI

 


쿨과 비밥의 공존

 
한편 쿨재즈는 단순히 웨스트 코스트 재즈를 통해서만 발전했던 것은 아니었으며, 또한 백인들에 의해서만 연주되지도 않았다. 마일스 데이비스의 <Birth of Cool>이 비밥 재즈의 열기 한가운데서 녹음되었던 것처럼 뉴욕에서도 쿨 재즈는 분명 존재했다. 게다가 쿨 재즈가 기본적으로 비밥의 연주 방식을 그대로 따르고 있는 만큼 쿨과 비밥을 오가면서 연주하는 연주자들이 많았다. 예를 들면 모던 재즈 퀼텟과 그 피아노 연주자 존 루이스 같은 경우에는 비밥과 쿨 모두를 오가는 음악을 들려줬으며 클래식적인 기법을 도입하여 편곡을 시도하곤 했다. 한편 이런 가운데 쿨과 비밥을 오가는 연주자들의 음악은 명확히 쿨재즈와 비밥으로 분류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 예로 빅밴드 출신인 색소폰 연주자 스탄겟츠는 쿨재즈와 함께 그가 새로 도입한 보사노바재즈, 그리고 비밥 스타일의 연주를 동시에 펼치곤 했다. 
 

https://en.wikipedia.org/wiki/Stan_Getz

Stan Getz - Wikipedia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American jazz saxophonist (1927–1991) Musical artist Stan Getz (born Stanley Gayetski, February 2, 1927 – June 6, 1991) was an American jazz saxophonist. Playing primarily the tenor saxophone, Getz was known as "Th

en.wikipedia.org

https://youtu.be/P3qS363m7-w?si=V7ujb4LW-O7PeYcY

 
여기서 한 가지 재즈의 역사에 대해 생각해야 할 것이 있다.
보통 재즈의 역사를 [스윙↠비밥↠쿨↠하드밥↠프리↠퓨전] 의 순으로 구분하곤 한다.
그런데 이러한 시대 구분의 역사는 한 사조가 완전히 쇠락하고 다른 사조가 새로 등장했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이러한 시대 구분은 소멸보다는 등장시기에 따른 것으로, 단지 쉬운 이해를 위해 단순화시킨 것일 뿐이다. 그러므로 쿨 재즈의 전성기 때 비밥 스타일의 연주가 없었던 것이 아니라 분명히 존재했으며, 심지어 그 이전의 스윙 연주도 존재했었음을 인식해야 한다. 단지 재즈의 중심이 비밥 재즈가 아닌 쿨 재즈에 있었을 뿐이다.
 
그리고 쿨 재즈의 주요 연주자들이 비밥을 적대시하고 완전히 소멸되기를 바랐던 것도 아니다. 
재즈의 역사는 정치사 같은 힘의 역사가 아니라(연주자 중심이기는 하지만) 취향의 역사이기 때문에 명확한 소멸이란 존재하지 않는다. 그저 연주자들이 새로운 표현 가능성을 탐구하고 실험하는 과정에서 새로운 사조가 등장하고, 이것이 지속됨으로써 재즈의 경계가 보다 더 확장될 뿐이다. 
 

 
따라서 재즈의 역사는 생성과 소멸의 역사가 아닌 다양성을 존중하는 공존의 역사라 할 수 있다.
현재 극히 상반되는 스타일의 음악들까지 재즈의 테두리 안에서 이해되고 있는 것이 바로 이러한 이유 때문이다. 
 만약 재즈에 단절이 있다면 그것은 완전한 단절이라기보다는 부분적인 단절의 성격이 강하다.
그래서 모든 사조들은 저마다 자신만의 연속된 역사를 지닌다. 이런 이유로 한 연주자가 쿨 재즈와 비밥 재즈 모두를 연주하는 것은 결코 이상한 일이 아니다. 그들은 스타일에 구속받지 않고 순간순간 자신의 욕구에 반응하여 연주를 펼쳤을 뿐이었다. 재즈의 발전은 바로 이러한 진취적인 연주자들에 의해 이루어진 것이다. 


 

부드러운 즉흥 연주와 대중의 호응
 

쿨 재즈의 즉흥연주는 기본적으로 코드체계와 관련되어 진행되는 비밥의 즉흥연주방식을 그대로 따른다. 하지만 비밥처럼 즉흥 연주가 과격하지 않았으며, 많은 음들을 짧은 시간 동안 쏟아붓듯이 연주하지도 않았다. 그보다는 보다 더 여유를 갖고 음들을 경제적으로 운용했고, 이때 선택된 음들은 테마로부터 멀리 떨어져 강한 긴장감을 유발하는 음들도 아니었다. 
그리고 편곡을 통하여 새로이 연결된 코드 간의 진행도 곡의 느낌 자체를 바꿀정도로 강한 긴장을 유발하지는 않았다. 한편 리듬에 있어서도 스윙감을 유발하는 2`4박에 강세를 주는 것을 부드럽게 통제했으며, 이로 인해 비밥에 비해 안정되고 차분한 진행을 보였다. 이러한 요인들은 곡 전체의 열기를 식히는 대신 상쾌한 맛을 느끼게 만드는 결과를 낳았다.
 
이러한 부드럽고 편안한 느낌의 연주는 대중들로부터 많은 환영을 받았다.
특히 데이브 브루백(dave Brubeck) 퀼텟은 세계적인 순회공연을 할 정도로 큰 인기를 얻었다.
 

Paul Desmon &amp; Dave Brubeck

참고) 콰르텟 quartet_ 4명의 가수 또는 악기 연주자로 구성된 앙상블
재즈 4중주 앙상블은 종종
호른, 클래식 클라리넷(또는 색소폰, 트럼펫 등)

코드악기(ex: 전기기타, 피아노, 오르간, 비브라폰 등)
베이스 악기(ex: 더블 베이스, 튜바, 베이스 기타)
드럼키트로 구성됩니다. 
 

 

https://youtu.be/tT9Eh8wNMkw?si=tca8ivMiTlkf57In

https://en.wikipedia.org/wiki/Dave_Brubeck

Dave Brubeck - Wikipedia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American jazz pianist and composer (1920–2012) Musical artist David Warren Brubeck (; December 6, 1920 – December 5, 2012) was an American jazz pianist and composer. Often regarded as a foremost exponent of cool ja

en.wikipedia.org

 
그리고 이러한 대중적 인기에 힘입은 많은 쿨재즈 연주자들은 할리우드의 영화음악에 참여하기도 했다. 만약 지금의 일반 대중 사이에 '재즈는 어렵다'라는 선입견 외에 '재즈는 분위기 있고 낭만적인 음악'이라는 정반대의 선입견이 형성되어 있다면, 그것은 바로 쿨재즈와 이들의 영화음악을 통해서일 확률이 크다. 
 
https://www.youtube.com/watch?v=Kda_OwFqiDw&list=PL1xXrIV3LJUdbxY3luQzK69euhB21kQ--&index=9